가장 큰 이유는 전압은 감지된 곳으로부터 멀리보내면 선로의 저항으로 인해 최종단의 전압이 변하게 됩니다.
센서가 감지한 신호의 출력전압이 1V라고 할때 이것을 500m 거리에 보낸다고 할때 500m의 장치에서 이 신호를 측정하면 1V가 되어야 하는데 선로의 저항으로 전압의 손실이 발생하여 1V보다 적게 됩니다.
그래서, 전류를 사용하구요. 전류는 선로의 저항과 상관없이 직렬이기 때문에 전류는 센서의 출력과 종단지점과 같게 됩니다. 루프가 형성되니까요.
그래서 센서의 출력이 12mA라고 할때 이것을 받는 장치에서도 읽으면 12mA가 됩니다.
문제는 받는 측에선 전류를 전압으로 바꿔야 신호처리가 용이하므로 종단저항이라고 하는 저항을 답니다.
그리고 이 양단의 전압을 이용하여 처리를 하면 용이하지요. 그래서 주로 사용하는 종단저항이 250옴입니다.
따라서 센서의 출력이 10mA가 나오면 종단측에는 10mA * 250옴 = 2.5V가 얻어집니다.
대다수의 회로에선 5V를 많이 사용하므로 센서의 최대출력전류가 나오더라도 5V를 넘지않게 하는 것이 여러가지 표준적인 측면 때문에 편합니다.
그래서 5V / 250옴 = 20mA가 나온것입니다.
그럼 센서가 연결이 되지 않으면 0mA가 나오겠지요. 문제는 센서가 연결이 되어있는 상황에서 센서가 고장이 나도 0mA, 연결이 안되어도 0mA가 나오면 종단측에서는 항시 0V가 감지됩니다.
이렇게 되면 문제가 무엇인지, 정상인지 오리무중이 됩니다. 그래서 최하 1V가 정상적인 경우 감지되게 만들자는 취지에서 1V / 250옴 = 4mA가 된것입니다.
결국 종단측에서 1V가 감지되면 센서는 이상무. 0V가 감지되면 센서이상. 센서의 출력전류는 250옴 양단에 걸리면서 1V ~ 5V 사이에 놓이게 됩니다.
이것을 읽어서 요리하면 정확한 측정이 되지요.
도움이 되시면 합니다.
*** 자료 출처 :
http://netbotz.tistory.com/103
'[2007년_대통령선거] > ***기술·과학_전기전자07'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scr의 동작원리 (0) | 2007.10.03 |
---|---|
[스크랩] Westcode사의 SCR device training 자료 (0) | 2007.10.03 |
[스크랩] IGBT란 (0) | 2007.10.02 |
[스크랩] 발전기의 원리 (0) | 2007.07.03 |
[스크랩] '무선 전기' 꿈의 기술 실현 (0) | 2007.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