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_금융위기]/건강_일반_08

[Daum 카페] PVC의 유해성

김철수02 2008. 10. 18. 23:53

 

 

 

 

 

 

 

 

 

 

 

 

 

 

 

 

 

 

 

내용출처 : http://cafe.daum.net/ghi1028 정착인신문사 (탈북인신문)

작성자 : 양란

작성일 : 2008.10.14

 

 

 

[ 그릇궁합 ]

 

 

그릇에도 궁합이 있다.(식기 과학의 8가지)

 

★ 튀김은 쇠와 닿는 것을 피하라

흔히 튀김은 쇠로 만든 냄비에 튀겨 쇠철망에 건진다.  쇠로 만든 쟁반에 담기까지 한다.

지방은 쇠에 닿으면 쉽게 산패하므로 몸에 해롭다. 기름은 쇠그릇에 보관하는 것도 나쁘다.

 

★  알루미늄 호일로 김치를 싸지말라.

도시락을 쌀때는 국물이 흐르지 말라고 흔히 알루미늄 호일을 즐겨 쓴다. 알루미늄은 산성에 용해되기 때문에 신김치에도 녹아내리므로 정말 위험천만한일,다른 초절임 야채무침도 마찬가지다.

 

★  색깔이 화려한 그릇을 피하라.

플라스틱 그릇을 살 때는 재료를 살펴라. 플라스틱 식기의 재료로는 PET(폴리에틸렌라프탈레이트),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정도가 안전하다.

 

★ 플라스틱 그릇에는 지방을 멀리하라.

플라스틱은 지방에 녹는 특성이 있다. 앞서 세가지를 제외한 플라스틱은 대부분 가소제와 첨가제를 많이 쓴것,이런 성분들은 지방에 녹아 내려 음식에 섞이므로 위험하다.

 

★ PVC그릇은 식기로 절대 쓰지 말라.

젓갈통이나 김치 저장용으로 업소에서 많이 쓰는 자주색(고무통) PVC. 가정에서도 김장때는 곧잘쓴다. 발암 성분으로 알려진 가소제를 쓸뿐 아니라 내열온도도 플라스틱 가운데 가장 낮아 그만큼 위험하다.

 

★ 도자기는 고온에서 구운 것을 찾아라.

빨강,노랑등 원색의무기 안료를 쓴 그릇은 주로 저온에서 구운것 . 870도씨 이상에서 구우면 원색이 죽기 때문이다.

고온에서 구운것은 무기안료를 쓰지 않은 것이다. 고열에 견딘 것인만큼 전자레인지에 음식을 넣고 요리할때도 그릇이 쉽게 용해되지 않는다.

 

★ 랩을 믿지 말라.

랩은 하루에 ㎡당 2만 cc의 산소를 투과한다. 랩으로 싼 음식물은 그냥 공기 중에 내놓은 음식물이라고 보면 된다. 랩으로 싸고 냉장고에 넣었다고 음식 냄새를 가리거나 상하는 것을 막을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