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제2 도시 부산
|
김기현기자 ant735@munhwa.com 기사 게재 일자 : 2007-02-07 13:39
|
우리나라 제2의 도시 부산이 흔들리고 있다. 수백만명의 피란민을 품어 살린 도시. 부마항쟁 이후 2명의 대통령을 배출한 정치적 자존심은 높지만 주력산업 실종으로 인한 장기 침체와 산업 공동화로 도시 전체가 거대한 베드타운으로 변하고 있다.
최근 미국 뉴욕이나 중국의 상하이(上海), 인도의 뭄바이 등 세계적인 항구 도시들은 경제수도로 급성장하고 있지만 세계 5대 항구도시라는 부산은 정반대다. 1970년대 신발 등 경공업 중심지로 각광받았지만 1990년대 초반 신발산업이 붕괴하면서 쇠락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이다. ◆ 부산은 잠자리, 일터는 창원과 울산에 = “오늘도 남해고속도로 서김해IC에서 부산 덕천로터리까지 12㎞구간에서 정체현상을 빚고 있습니다.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 가락IC에서 서부산 요금소까지도 정체입니다.” 매일 오후 6~7시 퇴근시간이면 부산으로 들어오는 길은 전국에서 가장 심한 정체를 보인다. 6일 오후 경남 김해, 창원에서 부산으로 진입하는 남해고속도로는 부산으로 퇴근하는 차량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었다. 꼬리를 물고 길게 이어진 차량행렬은 끝이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반대 방면 차로는 펑펑 뚫려 시속 100㎞가량의 속력을 내고 있었다. 아침에는 부산에서 나가는 차량들로 넘친다. 김해까지 10여㎞ 구간은 대낮이나 주말에는 평소 15~20분이면 충분하지만 출근시간에는 1시간 이상씩 걸리고 있다. 창원은 진입로인 창원터널에서 막혀 1시간30분을 잡아야 한다. 경남 양산, 울산으로 출퇴근하는 경부고속도로 양산구간 및 7번국도도 정체현상을 빚는다. 이같은 현상은 1990년대 초부터 계속되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 통계에 따르면 1997년부터 2004년까지 8년동안 연간 164~381개씩 1800여개 업체가 빠져나갔으니 당연한 결과다.
◆ 산업 공동화와 인구 감소 = 신발산업 붕괴 이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중화학공업 등으로의 구조전환에 실패하고 유통, 식당업 등 영세 서비스업이 주종을 차지하는 기형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역별 산업구조에서 부산은 서비스업이 70%를 넘나들면서 제조업, 건설업 등이 10~16%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인구도 1995년 389만명에서 현재 363만명으로 11년동안 26만명이 빠져나갔다. 한달에 2000명 이상이 꾸준히 줄고 있는 셈이다. 비싼 공장용지 때문에 기업들이 인근 김해, 양산 등으로 대거 빠져나간 것이다. 노령화도 심각하다. 노령인구 비율은 2000년 6%에서 2003년 7.3%로 높아진 뒤 2005년 8.3%, 2006년 8.9%로 높아져 전국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기업의 역외유출로 한창 일할 나이인 20, 30대 인구가 적어 주력층이 퇴직한 10년이 지나면 더 큰 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서비스업 비중은 높지만 도심과 신시가지 등 대단지 상가들은 영세업체들이 대부분이다. 화명동 상가에서 옷가게를 하는 정모(여·44)씨는 “인근 300여개의 상가점포 중 일부 삼겹살집·횟집 등 대중식당, 학원 등을 제외하면 장사가 안돼 1년 내에 문을 닫는 업소가 속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 컨벤션 및 영화·영상산업 활성화에 작은 희망 =
부산 정·관·재계 인사들은 지난달 31일 서울의 중앙정부와 정당을 방문, 각종 규제완화와 지원을 요구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27일 노무현 대통령이 북항 재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부산을 방문했을 때도 같은 건의를 했다. 신공항 건설, 동북아 물류수도 도약을 위해 필수적 요소인 북항대교 등 순환물류도로 완성을 위한 국비지원, 건설업 활성화를 위한 투기과열지구 해제 등이 대표적인 쟁점이다. 43만평의 재래부두를 재개발해 해양 비즈니스 거점으로 바꾸는 북항재개발사업도 정부가 생각하는 친수공간 위주의 ‘시드니형’이 아니라 지역경제를 창출할 수 있는 ‘두바이형’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그나마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과 최근 전략산업으로 항만물류, 해양수산, 관광, 영화·영상산업 등을 집중 육성하고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에 외국기업들이 들어오면서 기대는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효과는 미미하다. 황문성 한국은행 부산본부 경제조사 팀장은 “항만물류, 관광컨벤션사업 등 지역특화산업을 잘 육성해 청년층의 유출을 막으면 희망이 있다”며 “부산, 울산, 경남을 포괄하는 광역경제권 구축을 통해 서로 협조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산 = 김기현기자 ant735@munhwa.com |
'[2007년_대통령선거] > ***경제_산업_07'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일보] "포장지에 팬티차림 여성…" 한국기업에 북측 '펄쩍' (0) | 2009.03.10 |
---|---|
[스크랩] 조선협력단지 지질조사 내년 1분기 실시 (0) | 2007.12.29 |
[스크랩] 개성공단 생산.수출액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 (0) | 2007.12.29 |
[스크랩] [단독]대기업 법인세인하 없을 듯 (0) | 2007.12.25 |
[스크랩] 변속기 기술 中유출 현대차 직원 기소(종합) (0) | 2007.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