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_대통령선거]/***기술·과학_전기전자07

[Daum 카페] 필기 시험 필승 전략

김철수02 2013. 2. 23. 23:44

 

 

 

 

 

 

 

 

 

 

 

 

 

 

 

 

전기자격증카페 http://cafe.daum.net/pekor

작성자 : 비풍초

작성일 : 2007.08.01. 13:19

 

 

 

1. 기사와 산업기사 합격 전략 차이점.

  - 차이점은 큰것이 없습니다.

다만 기사의 경우 회로이론과 제어공학이 한과목에 같이 나오고 산업기사의 경우는 회로이론이 80%정도로서 제어공학은 4문제정도가 나오므로

기사는 제어공학에 조금 더 비중을 두시고 산업기사는 회로이론에 올인하세요..회로이론 알고보면 전기기기랑 함께 제일 쉬운 과목중에 하나에요..헷갈리는 답 없고 과년도에도 충실한편(^^??)

 

2. 내가 합격할수 있을까??? (쫄지마라..그리고 도전하라..)

- 난 수학이 딸리는데??

걱정하지 않아도 될부분...과년도 책 풀이식 같은데에 보면 미적분 많아보이시죠?? 하지만 매회시험 미적분 3문항이상 나옴 많이 나오는 편입니다.. 출제 문항 적은편이고 나와도 과년도에서 벚어나질 않는 편..결론은 사칙연산(더하고 빼고 뻥곱튀기고 낭구고)만 할줄아시면 됩니다.여기에 루트 벗기고 쒸우고 정도만...산업기사 회로이론 올인하시는 분들은 복소수를 꼭 익히셈..문제출제빈도있음..

복소수 요것만 수학수준인데요.복소수도 내용 알고보면 사칙연산 사촌이나 친구정도 생각하심되고 요.. 계산기쓰심 더 편하게 답구할수 있습니다.(계산기는 복소수 계산하는거랑 방정식풀때 사용하는 솔버기능만 다루셔도 정말 좋음) 최종결론은 수학따위 몰라도 되고 산수만 잘하면 된다.....요거임

    p.s - 솔버기능 설명서보시고 78+x=57*98 이런식에서 x값 구하는 정도로 활요하심되는데요 저런식 이항해서 풀어볼라면 귀찮잖아요..곱하고 나누고 괄호 쒸워져있고 분모분자있고 루트에 자승 막들어가 있고하면 실수도 하니깐 솔버기능사용하실줄 아시면 정말 편하겠죠^^

 

 

3. 과년도 외우기 전략 하지마라...

- 과년도 5개년치 10번 보고 붙더라???

암기신공이라...글쎄요 붙을수도 있지만 전 주위에 암기신공해서 55-59점사이로 떨어진 분들이 너무 많네요..암기신공은 비전공자분들이 시험준비하시기에 도전방법이 쉬운것이지 실제로 효과적 공부 방법이 되지는 못합니다. 보통 과년도책은 문제가 과목별로 단원별로 순차적으로 정리되지도 않고 뒤죽박죽 문제배열땜에 좀 더 다가서기 힘든교제일수 있습니다.

- 그럼 어떻게 공부하냐?

전공자의 경우 필기시험이 공부좀 평소 열심히 하셧다면 충분히 독학이 가능하고요. 출제문제가 재학시절 교과과목만큼 심도있게 들어가는 난이도의 문제 별로없지요..

문제는 입문자들의 공부방법인데..시간과 돈이 문제가 되시겠지만 가능하시다면 학원다니세요. 강의를 들어보시는게 가장 확실하고 또 공부도 야메가 아닌 지대로 하시게 되실겁니다.. 경제적으로도 문제고 지방이라 학원이 없다 하시면 인터넷 동영상강좌 들으세요..

직장인의 경우 고용보험들어 있으신 분들은 재직자 강의들으시면 70%정도 수강료가 환불되는 걸로 알고 있고요.. testnara.net들어가 보시면 동영상강의 전부 무료고 특강교재 4-5만원정도만 투자하시면 교재도 모두 살수 있으니 뭐 학원 다니시는 거나 마찬가지 일겁니다..

p.s - 특강교재는 과목별 500문제정도 출제빈도 높은문제 모아놓고, 문제들을 요점정리해주고나서 풀어보는 뭐 그런방식인데요.. 책안사셔도 요점정리라던가 많은 포인트를 얻을수 있는 부분이 있으니 강의 한번은 꼭 들어보세요..학원다니시면 더좋고

- 그럼 학원에서 강의듣거나 동영상 들으면 오래걸리냐?

둘다 공부시간은 비슷하고요(한달정도 소요) 무작정 암기신공해서 붙던 말던 해보는거하고 내용 파악 후에 공부하는 거랑은 같은 한달이여도 머리에 들어가는 양의 차이는 엄청납니다.과년도책 무작정 한달 외운거랑, 강의들으면서 한달 공부한거랑은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차이가 확납니다.

(테스트 나라 특강들어보시면 설비기준의 경우는 특강 3시간정도면 다봅니다...)

     p.s -일일 공부시간은 평일 4-5시간 주말은 10시간 기본으로 하세요..쉬운 시험아닙니다..

- 강의 듣는게 그렇게 좋나요???

정보공유란 참 무서운 힘인가 봅니다.. 강사들이 어느부분은 안나오고 나오고 찍어주고요..어떤문제 는 계산하면 답구하기까지 20분도 넘는 문제 아주 가끔 있는데요. 요런거 선별해주고 쉽게 외우는 예를 들어 동기발전기 병렬운전조건에서 기.위.주.파.상 보통 요렇게 외우는거 키위주고파 요렇게 좀 쉽게 외우는 방법도 알려줍니다.그리고 정답을 모르더라도 아닌답 고르는 방법도 많이 가르켜 주기 땜에 찍을때도 좀더 확률있게 찍게되고요..암튼 전공자라도 여유있다면 추천하고 싶고요..

특히 비전공자에게는 추천이 아니라 필수라 말하고 싶네요..달랑 옴의법칙 하나알고 뛰어들만한 시험은 아니깐요. 기본적으로 뭐 입실론, 뮤,로우,시그마,리엑턴스,컨덕턴스의 약호정도 알고 뮤를 엠이라 나름대로 읽으면서 공부하시지 마시길 바라고, 전기 기기에 나오는 자여자니 타여자니 돌입 여자 전류니 단락비가 뭔지 요런 개념 어려운건 아니니 한번만 들어봐도 전체적인 그림이 어느 정도 스케치 되실겁니다. 그러니 꼭 들어보시고 문제풀어보시고 과년도 1-3번정도 보는걸로 마물하시면 됩니다..어느새 부쩍 늘어난 지식을 느끼실겁니다.정석대로 제대로 알고 공부하자는 겁니다..

 

4. 이글보고 정말로 시험장가서 정석대로 문제를 푼다????

-공부할때만 그렇게 하고 시험장가서 그런거하지 마라.

문제 앞대가리랑 뒷대가리의 맞는답 고르는 건지 아닌거 고르는건지까지만 읽고 답고르고, 계산 문제 숫자보면 기출문제와 같은 숫자라 느끼면 보기에서 답 바로 고를수 있는정도까지는 공부하십시요..어려운거 아니에요 자연히 그런 경지에 오르시게 됩니다.해보면 알아요..

실제로 학원이나 인터넷강의나 들어보면 강의책에 문제가 과년도에서 기출빈도 높은문제선별해서 만든 책들이 많아서요 강의책 2번정도 보시고 과년도책 2번정도 보시면 그경지에는 자연히 가게되요. 숫자가 틀려도 문제읽지도 않고 그냥 식쓸때 그숫자자리보고 분모에 대입하든 분자에 대입하든 식은 생각안나도 계산대입 위치가 기억나서 풀수있게됩니다.자연히 됩니다..

강의 열심히 듣고 또 과년도책 한두번정도 정독하셨으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대신 강의들을때 문제집은 자기혼자서 따로 한번더 보시고 과년도로 마무리 1-3번 정도보시는게 솔직히 한달하고 한 1-2주 정도걸리는데요 . 대신 합격확률은 암기신공보다 배이상 높다는거....엔트책 암기신공 하는 사람들 책 보통 5번이상 많게는 10회까지도 보는사람도 있다는거...정석대로 하면 오히려 문제는 조금 덜 풀어보고도 지식은 더 많이 쌓는다 말씀드리고 싶고요...

자기 평생 자격증하나로 밥벌어 먹고살껀데 6주정도도 투자 못한다면 말도 안되는거죠..

 

5. 설비기준 깔보지마라.(암기 신공 하시는분들)

- 설비기준 계산 별로 안나오고 하니깐 작업하기 수월하더라....???

설비기준 책 잘봐야되요..답도 접지종별, 전선굵기,공사종별 무자게 햇갈리고요..

보안공사냐 그냥공사냐 잘 눈에 뛰지 않는 문꾸 하나에 답달라집니다..문제 읽을때 유의

깊게 읽어야 되시고 또 설비기준 말그대로 공사기준이기 땜에 범위도 넓고 회로이론이나

자기학보다 공부해보면 오히려 더 점수 잘 안나옴니다..

예상점수 높게 잡고 뭐 회로이론이나 자기학은 과락만 면하자....요런전략 쓰시지 마시라는 겁니다. 그리고 시간되면 책안사시더라도 테스트나라 설비기준 특강 보실만 할겁니다.

한번 다보는데 설비기준의 경우 시간 3시간 정도면 다 볼수 있으니 한번은 꼭보세요..도움됨

 

6. 함께 공부하라..

- 자극을 주위사람으로 부터 받아라.

혼자 공부하시지 말라는 말이죠..함께 공부하면 지식의 공유도 있을테고요, 다른 종목 수험준비한다고 해도 뭐 서로 서로 도서관 같이 가자고 챙겨주고 할수 있으니 마음을 잡고 공부하시기도 편하고 라이벌 의식도 생기고 훨씬 좋습니다.

 

p.s 암기신공하는 것도 공부라면 공부지만 글올라온거 보니깐 넘 시험이 쉽게 표현된 글들이 많네요.

어떤분들은 비전공자인데도 자기학이 젤쉽더라..그런말도 하시더군요...자기학 공식만해도 몇개인데요..이왕하는 공부 좀 제대로 해서 내용알면 공공기관 입사 시험볼때 전공과목 1-2과목 볼때도 좋고, 59점 맞고 떨어질 걱정안하고 하면은 좀 좋겠습니까?

 

우리 아부지 말씀 "여자랑 책과 먹는데 돈.시간 아끼지마라" 많은 합격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