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ok-On Meter로 중성선전류를 측정하면 큰 전류가 흘러 현장의 담당자를 어리둥절하게 만든다.(중성선전류가 선전류보다 큰 경우가 있음)
대부분의 기술자는 이 경우 누전에 의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되나 실은 영상분 고조파에 의한 것임을 밝혀둔다. 최근 OA기기를 많이 쓰는 빌딩은 전부 이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 영상분 고조파는 변압기, 케이블, MCCB 과열의 원인이 되고(외국에서는 화재사고로 이어진 사례가 있음) 대지전위상승 등 Noise원으로 작용해 큰 피해가 우려된다.
고조파에 의한 중성선 과전류
일반적으로 전력의 흐름은 전원측에서 부하측으로 흐르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고조파 전류는 부하측에서 전원측으로 흐른다고 이해하면 된다.
요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Power electronics 응용기기(정류기, UPS, 컴퓨터 등) 는 파형을 왜곡시키는 비선형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 발생하는 고조파 전류는 <그림1>과 같이 부하측에 고조파 정전류원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전원측으로 유출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 중략 >
가. 변압기 과열
비선형 부하에서 발생되는 고조파는 전원측으로 유출된다고 가정하면 <그림4>에서와 같이 유출되는 영상분 고조파는 변압기 1차로 변환되어 △권선내를 순환하게 된다.
이 순환하는 전류가 열로 바뀌게 되어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빌딩에서 사무용기기(단상정류기)를 많이 사용할수록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변압기의 와전류 손실 및 표피효과에 의한 영향에 증폭되어 변압기의 열화를 촉진하게 된다.
*** 자료출처 : http://blog.daum.net/parkkdy/12357574
'[2007년_대통령선거] > ***기술·과학_전기전자07'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조파의 영향_전자장비 (0) | 2007.12.05 |
---|---|
[네이버_블로그] 제3고조파 (0) | 2007.12.05 |
[네이버_블로그] Y-델타 결선의 이유 (0) | 2007.11.30 |
[LG산전] 지락전류 발생 (0) | 2007.11.26 |
[한국전기공사협회] 전기_자동제어 변천사 (0) | 2007.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