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에서 산지 15년 되는 직장인입니다.
(국제 난이 없어져서 일단 수다 난에 올립니다. 혹시 앞으로는 어느 난에 올리면 좋은지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미국 생활 중반까지는 식품의 성분 같은 것에 신경쓰지 않고 살았습니다만, 시간이 갈수록 미국 식료품에 얼마나 많은 인공 첨가물이 사용되는 지를 알게 되면서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물론 '인공'이라고 해서 다 나쁜 것은 아닙니다만, 미국의 유통 구조상 식품 보존 기간이 길어야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인공 보존료가 많이 사용되게 되는 것은 사실인가 봅니다.
어느날 궁금해서 수퍼마켓에서 파는 식빵 두개의 성분표를 훝어보았습니다.
첫째로, 그나마 첨가물이 덜 들어갔다는, 약간 가격이 높은 식빵의 성분표입니다.
Wholewheat flour, water, Sugar, Wheat Gluten, Yeast, Raisin Juice Concentrate, Wheat Bran, Salt, Molasses, Soybean Oil, Cultured Dextrose and Maltodextrin, Mono and Diglycerides Calcium Sulfate, Citric Acid, Daterm, Grain Vinegar, Soy Lecithin, Ethoxylate Mono and Diglycerides, Whey, Non Fat Milk
다음은 비교적 저렴한 흰빵의 성분표이고요.
Enriched Bleached Flour [wheat Flour, Malted Barley Flour, Niacin, Iron, Thiamin Mononitrate (vitamin B1), Riboflavin (vitamin B2), Folic Acid], Whole Grain Flour, Brown Rice Flour (rice Flour, Rice Bran)], Water, Whey, High Fructose Corn Syrup, Wheat Gluten, Sugar, Yeast Contains 2% or Less Of Each Of the Following: Vegetable Oil (soybean and or Cottonseed Oils), Calcium Sulfate, Salt, Dough Conditioners (may Contain nulle or More Of the Following: Mono- and Diglycerides, Ethoxylated Mono- and Diglycerides, Sodium Stearoyl Lactylate, Calcium Peroxide, Datem, Ascorbic Acid, Azodicarbonamide Enzymes), Guar Gum, Calcium Propionate (preservative), Distilled Vinegar, Butter (cream, Salt), Yeast Nutrients (monocalcium Phosphate, Calcium Sulfate, Ammonium Sulfate and or Calcium Carbonate), Corn Starch, Natural Flavor, Vitamin D3, Soy Lecithin, Soy Flour.
약간 더 저렴한 빵의 성분표가 거의 두배정도 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해져서 미국에서 많이 쓰는 Wikipedia에서 약간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Calcium Peroxide는 빵을 희게 만드는 표백제 입니다. 비료로도 쓰인다고 하네요.
High Fructose Corn Syrup은 미국에서 파는 거의 모든 청량음료에 들어가는, 설탕 대용으로 쓰이는 감미료입니다.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있는 빵에는 대부분 이렇게 해서 약간의 단맛을 첨가한다고 합니다. 약간 가격대가 높으면 이 대신에 설탕을 사용하기도 한다는.
Mono and Diglycerides: 부드러운 촉감을 주고, 약간의 지방질을 첨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인공 지방의 일종. 맥도널드의 맥너겟 (닭고기 맛이 나는 정체 불명의 식품)에서 쓰이는 중요한 성분 중 하나라고 합니다.
Azodicarbonamide or Azodicarbonamide Enzymes: 또다른 표백제.
DATEM: 씹는 촉감을 좋게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또다른 인공 지방.
Calcium Propionate: 빵에 자주 사용되는 방부제.
슈퍼마켓에서 파는 식품들은 대부분 운송/보관의 이유로 유통기한이 길어야만 하기 때문에 이곳에서 판매된는 빵에는 대부분 어쩔수없이 들어가야 하는 방부제가 여럿 있다고 합니다.
어쨌든, 미국인이 주식처럼 먹는 빵도 이런 상황이다 보니 저희 동네인 산타 클라라나 옆동네인 쿠퍼티노에서도 주말마다 주변 지역의 농장에서 실어온 야채와 과일, 빵등을 구입할 수 있는 파머스 마켓이 큰 인기를 끄는 것이 우연이 아닌것 같네요. 요즈음은 빵집에서 아침마다 만드는 빵을 사가는 사람도 부쩍 늘었습니다. 알면 알수록 자연재료를 조금 더 불편하더라도 찾지 않을 수 없게 하는것이 요즈음의 상황인 듯 합니다.
*** 내용출처 : 아고라_이야기_수다
입력일 :10.09.21 08:26
작성자 : concertokyung
'[2010년_천안함침몰?] > 건강_일반_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um 카페] 웅담의 사용법 (0) | 2010.11.23 |
---|---|
[스포츠한국] 염소 소독한 수영장 "조심하세요" (0) | 2010.09.15 |
[한국경제] 피곤한 눈을 위한 휴식법 (0) | 2010.07.05 |
[연합뉴스] 척수손상 '침 효능' 과학적 첫 증명 (0) | 2010.04.11 |
[연합뉴스] 유해 전자파 피해 줄이는 요령 (0) | 2010.04.10 |